반응형

주식 배당에 대해 알아보면 배당률, 배당수익률, 시가배당률이라는 단어를 접할 수 있습니다. 본 글에서는 이 용어들이 구체적으로 의미하는 것과 차이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.

 

 

 

배당률(Dividend Rate)

배당률은 1주당 액면 금액에 대해 지급되는 배당금의 비율을 의미함

 

배당률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.

 

배당률 = 배당금 / (액면가 X 100)

 

주식 액면가는 주식의 실물인 유가증권 종이에 적혀있는 해당 주식의 가격입니다. 이것은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과는 다릅니다. 그래서 실질적으로는 잘 쓰이지 않습니다. 보통 투자를 할 때 배당률이라고 하면 시가배당률을 의미합니다.

 

 

 

 

시가배당률

 

시가배당률은 배당기준일 주가 대비 배당금의 금액을 의미함 

 

시가배당률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.

 

시가배당률 = 배당금 / (배당기준일 주가 X 100)

 

실질적으로 얼마의 주식을 가지고 있을 때 어느 정도 배당을 받을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입니다. 본인이 받을 배당을 계산한다면 이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. 가장 기본이고 많이 사용하는 개념입니다.

 

 

 

배당수익률

배당수익률은 주식을 매수했을 때 몇 % 의 배당수익을 얻을 수 있는지를 의미

 

배당수익률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배당수익률 = (주당 배당금 / 주식 가격 X 100)

 

배당수익률은 내가 주식을 구매했을 때 얼마나 수익을 얻을 수 있는지를 계산하는 지표입니다. 이때 시가배당률은 이전과 같다고 가정합니다. 그리고 주식 가격은 실제로 주식을 구매하는 가격입니다. 보통 1년 단위로 계산하기 때문에 이 점을 고려하셔야 합니다.

 

 

 

배당성향

배당성향은 기업이 1년 기준으로 순이익 중 배당을 얼마나 사용하는지를 의미

 

배당성향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배당성향 = 배당금 / 주당순이익(EPS)

 

배당성향은 기업이 얼마나 배당을 잘 주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. 기업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 중에서 배당금으로 사용하는 지를 계산해서 얻습니다. 배당성향이 높은 기업은 주주들에게 기업의 이익에 비해 배당을 많이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.

반응형
  • 트위터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